본문 바로가기
시선포커스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신청 방법과 과태료 안내

김기자 2024. 1. 16.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임대계약을 법적으로 신고하는 제도로, 이를 통해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토교통부 /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

 

임대계약 신고 방법

부동산 임대계약을 체결한 경우, 임대인과 임차인은 임대기간과 임대료 등의 계약내용을 법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주요한 방법이 있습니다.

 

방문신고

  • 주택임대차 목적물의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고합니다.
  • 세입자가 주민등록 주소지를 변경할 때 함께 가능합니다.

 

온라인신고

  •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또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임대인이나 임차인 중 한 명만 신고해도 되지만, 계약서를 첨부해야 합니다.

 

온라인 신고 단계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를 온라인으로 진행할 경우, 아래와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1.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시도와 시군구를 선택하고 "임대차신고 - 신고서 등록"을 클릭합니다.
  3.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4. 신청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휴대전화번호 등.
  5. 임대목적물 정보를 입력합니다: 소재지, 주택유형, 임대면적, 방 개수 등.
  6. 임대 계약내용을 입력합니다: 계약 종류, 체결일, 임대보증금, 월임대료, 계약기간 등.
  7. 전자서명을 진행한 후 신고를 접수합니다.

 

과태료 부과 가능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최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023년 6월 1일부터 이 과태료가 시행됩니다.

 

확인 방법 및 링크

임대계약을 했지만 신고 여부를 잊어버렸다면 국토교통부/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신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고 확인을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중앙 - 시도 선택 - 시군구 선택 - 신고하기 - 신고 이력조회 선택 - 로그인 - 주택임대차 신고이력조회 작성 - 조회.

조회 후 신고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의 링크를 통해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

 

부동산 임대차 거래신고 는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해 중요한 절차입니다. 임대계약을 체결한 경우, 온라인 또는 방문 신고를 통해 신고해야 하며, 신고를 잊어버리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위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항목

내용

신고 방법

방문신고 및 온라인신고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온라인 신고 단계

시스템 접속 - 시도 및 시군구 선택 - 정보 입력 - 전자서명 - 신고 접수

과태료 부과 가능

미신고 또는 거짓신고 시 최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가능

확인 방법 및 링크

국토교통부/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을 통해 신고 확인 및 자세한 정보 확인 가능

시행일

2021년 6월 1일부터 임대차 신고제도가 운영 중이며, 과태료 부과는 2023년 6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국토교통부 /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