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선포커스

청약 통장 소득공제 통장 활용 방법

김기자 2023. 10. 18.

청약 통장 소득공제를 활용하여 주택 마련의 꿈을 실현하세요. 이 글에서는 청약 통장과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제공하고, 어떻게 소득공제를 신청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연간 납입한도 240만원→300만원 상향

 

청약 통장 활용 방법

청약 통장 전환

만 34살 이하라면 청년 청약 통장으로 전환을 고려해보세요. 이를 통해 금리 상승과 소득공제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근로자는 100%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 청약 통장 특징

  • 신한은행 기준 3.6% 금리 (기존 2.2%보다 높음)
  • 연 최대 240만원까지 소득공제 가능
  • 기존 납입 횟수 인정됨

 

일반 청약 → 청년 청약 전환

신한은행의 스마트폰 앱(SOL)을 통해 청년 청약 통장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챗봇을 통해 간편하게 자격심사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약 통장 소득공제 신청

소득공제를 신청하려면 어플에서 '계좌관리' → '소득공제신청/해제' → '무주택 세대주 선택'으로 접근하면 됩니다. 무주택 세대주인 경우나 앞으로 무주택 세대주로 변경 예정인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업데이트

2023년 8월 30일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 금리가 2.1%에서 2.8%로 인상되었습니다. 또한, 배우자 통장 보유 기간의 절반을 합산해 최대 3점 가점이 부여되며 다양한 혜택이 추가되었습니다.

 

주요 업데이트 내용

  1. 청약통장 장기 보유자의 우대금리 확대(0.2% ~ 0.5%)
  2. 배우자 청약통장 합산 가점 신설(최대 3점)
  3. 청약저축 소득공제 한도 확대(연간 납입한도 240만 원에서 300만 원)
  4. 미성년자 납입 인정기간 확대(5년, 납입 총금액 600만 원)
  5. 주택청약저축 금리 인상(2.1%에서 2.8%),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금리 인상(3.6%에서 4.3%)
  6. 주택 구입·전세 대. 출 금리 인상(2.15 3.0%에서 2.45 3.3%), 버팀목 대. 출 금리 인상(1.8 2.4%에서 2.1 2.7%)
  7.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1순위 조건 차이,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내 집 마련 기반 형성을 지원

 

결론

청약 통장 소득공제와 주택청약종합저축 업데이트를 통해 주택 구매를 더욱 스마트하게 계획하세요. 더 많은 정보와 조건은 공식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주택청약 소득공제 연간 납입한도 240만원→300만원 상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