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선포커스

고려 군사제도 응시자격 시대적 배경 알아보자

김기자 2023. 7. 14.

고려 군사제도는 고려시대의 군사조직과 관리 등용 제도를 의미한다. 중앙군과 지방군, 중방, 특수군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 다양한 임무와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기사에서는 고려 군사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중앙군

중앙군은 국왕의 친위군인 응양군과 용호군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도경비와 국경방어를 담당하는 좌우위, 산호위 등 6위 군인들로 이루어져 있다.

 

지방군

지방군은 주현군과 주진군으로 구성된다. 주현군은 주현과 속현에 배치되어 국경지대의 수비를 담당한다. 주진군은 초군, 좌군, 우군, 보창군, 영새군 등으로 구성되며, 예비군인 신기군, 보반군, 백정군도 포함된다.

 

중방

중방은 무신들의 합의 기구로 8개의 군단 지휘관과 상장군, 대장군으로 구성되어 군사적 중대사항을 결정한다.

 

특수군

특수군으로는 광군과 삼별초가 있다. 이들은 특정한 임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부대로, 고려 군사제도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관리 등용 제도

관리 등용 제도는 과거제도와 응시자격, 응시절차, 지공거, 한계, 음서제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제도

과거제도는 문과, 잡과, 승과로 나뉘며, 한문학 시험, 기술학 시험, 대선 시험을 통해 관리 등용이 이루어진다. 각 시험은 해당 분야의 지식과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고려시대 관리 등용의 중요한 요소였다.

 

응시자격

응시자격은 양인 이상이지만, 실제로는 귀족과 상층 계층이 주로 응시하였다. 백정과 농민은 잡과에 응시하게 되었다.

 

응시절차

응시절차는 시험 장소에 따라 개경시, 서경시, 향시로 구분되며, 국자감시 시험을 거친 후 본시험이 진행된다. 예부시 합격자들은 복시와 친시를 거쳐 순위가 결정되고, 최종 합격자에게는 토지인 '홍패'와 '등과전'이 지급된다.

 

지공거

지공거는 시험관을 총괄하는 기관으로서, 쌍기가 처음으로 임명되었다.

 

음서제도

음서제도는 5품 이상의 관료 자손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음서출신자들에게는 음서제도가 중시되었으며, 왕족과 공신의 후예에게도 적용되었다.

 


 

고려 군사제도를 둘러싼 시대적 배경

통일신라, 발해, 고려 시기에는 합의 기구, 감찰 기관, 중앙군, 국립대학 등의 조직이 존재하며, 이들은 고려 군사제도의 구성과 운영에 영향을 끼쳤다.

 


고려 군사제도는 고려시대의 군사조직과 관리 등용 제도로서, 중앙군과 지방군, 중방, 특수군 등 다양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의 군사력과 조직체계, 관리 기구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고려 군사제도는 고려시대의 국방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