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선포커스

1금융권 2금융권 차이 취급 상품의 다양성, 안정성, 대출 조건 비교!

김기자 2024. 4. 18.

금융시장에서 자주 듣는 용어인 '1금융권 '과 '2금융권 '은 은행법의 적용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과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1금융권 vs 제2금융권, 무슨 차이죠?

 

금융 시장에서 자금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 '1금융권 '과 '2금융권 '은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주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금융권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금융권 은행과 2금융권 은행 구분

1금융권 은행

1금융권 은행은 중앙은행과 예금은행으로 구성됩니다. 주요 시중은행으로는 국민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등이 있으며, 지역은행, 외국은행, 특수은행도 1금융권 에 속합니다.

 

2금융권 은행

2금융권 은행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다른 금융기관을 포함합니다. 보험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저축은행, 상호금융기관, 여신전문금융회사, 우체국 등이 속합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점

취급 상품의 다양성

  • 1금융권 은행은 다양한 금융상품을 취급합니다. 예금, 적금, 펀드, 채권 등이 포함됩니다.
  • 2금융권 은행은 주로 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취급하며,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1금융권 은행

2금융권 은행

다양한 금융상품 제공

주로 대출 상품 취급

 

안정성

  • 1금융권 은행은 자본 규모나 운영 안정성이 높습니다.
  • 2금융권 은행은 은행법이 아닌 다른 법에 따라 운영되며,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대출 금리 및 대출 심사조건

  • 1금융권 은행의 대출 금리는 낮지만, 대출 심사조건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 2금융권 은행의 대출 금리는 높지만, 대출 심사조건이 비교적 완화될 수 있습니다.

 

예적금 금리

  • 2금융권 은행의 예적금 금리가 1금융권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DSR 규제

  • 1금융권 은행은 DSR(Debt Service Ratio) 40% 규제를 받지만, 2금융권 은행은 DSR 50% 규제를 받습니다.

 

1금융권 은행과 2금융권 은행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는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맞게 적절한 금융기관을 선택해야 합니다.

항목

중요 정보

취급 상품의 다양성

1금융권은 다양한 금융상품 제공, 2금융권은 대출 상품 중심

안정성

1금융권은 안정성이 높음, 2금융권은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낮을 수 있음

대출 금리 및 대출 심사조건

1금융권은 대출 금리 낮으나 심사조건 까다로움, 2금융권은 대출 금리 높지만 심사조건 완화될 수 있음

예적금 금리

2금융권은 예적금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음

DSR 규제

1금융권은 DSR 40% 규제, 2금융권은 DSR 50% 규제

 

다운로드

 

 

제1금융권 vs 제2금융권, 무슨 차이죠?

댓글